목록Tip (55)
In Hiding

애플 생태계를 이제와서 처음 접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에게는 늘 불편함의 연속이었다. 쓰는 사람들 말로는 맥-아이폰-아이패드 연동하면 그렇게 편하다지만 맥은 쓸 일이 없고 태블릿이 동영상 재생(그것도 내가 볼게 아닌 조카 2호기용) 할 일이 97%에 게임도 안돌리니 헬리오 G99에 램 6GB만 되어도 동영상/웹서핑 용으로는 쾌적하게 쓸 수 있는 요즘같은 시대에 굳이 아이패드씩이나 쓸 필요가 없고, 아이폰도 젠하이저 AMBEO 스마트 헤드셋 써보려고(라이트닝 단자라) 서브폰으로 14 pro 개통한거니 달리 다양한 용도로 편하게 쓰기 위한 탐구를 굳이 할 필요는 없었다. 그런데, 메인폰인 갤럭시S23 울트라를 찍어야 할때라든지 S23 울트라 외의 다른 느낌 사진을 얻고 싶을때 아이폰14 pro로 사진을 ..
가끔 윈도우즈 탐색기의 우클릭 메뉴가 열리지 않아서 끄고 다시 켜다가 발생하는 문제로 내가 나중에 보려고 적어둠. 탐색기 바 부분의 "정렬" 항목에서 하단 "분류 방법" 으로 들어가서 "(없음)" 을 선택하면 분류가 없어진다. 장기보관 데이터의 경우 굳이 분류방법 따위가 필요없고 정렬은 이름 순 등으로 멀쩡히 잘 쓰고 있는데 탐색기 오류나서 껐다 키면 뜬금없는 분류가 들어가서 평소 심플하게 쓰던거랑 영 다른 화면이 거슬린다. 이게 잊을만 하면 한번씩 발생하는지라 매번 탐색기 메뉴 이것저것 건드리는 것도 일이라서 여기에 팁으로 남겨둔다.

첫번째 사진에서부터 보이듯이 난 젠하이저 제품을 아주 많이 갖고 있다. 속칭 젠빠라고 할만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젠하이저 국내 총판의 AS 정책에는 여전히 비판적이다. 물론 몇 년전 더 헬이었을때 비해서는 조금씩이나마 나아지고는 있지만 아직 개선해야할 것들이 많고 그로 인해 젠하이저가 내려치기 당하는 것이 불만이다. (자업자득이니 불만은 총판한테 있다) 소노바의 컨슈머 부문 인수 후 젠하이저 제품은 컨슈머 라인업과 프로 라인업으로 구분해서 봐야된다. 간단하게는 제품명 뒤에 pro가 붙은 제품들과 마이크, 노이만 브랜드 제품은 젠하이저 프로, 그 외의 제품들은 컨슈머 라인업이니 일반 소비자들은 컨슈머 라인업을 주로 접하게 될 것이다. 미리 프로 라인업의 가격에 대해 언급을 해두자면 얼마전에 들른 샵 사장님..

동생네가 집 근처에 있다보니 조카 둘이 우리집을 자주 오는 편이다. 그 중 2호기의 경우 최근 옛날로 치면 옷갈아입히기 놀이 같은 것에 한창 빠져있는데 그러다보니 가끔은 PDF 파일 형식으로 유료판매하는 도안을 사서 컬러프린터로 출력을 해준다. 보통은 도안 PDF 파일 구매후 브라우저에서 열어서 그냥 인쇄버튼 누르는게 끝인데, 얼마전에 내 PC를 7800x3D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프린터 설정에 뭔가 문제가 생겼는지 인쇄하는 족족 끝부분이 잘려나오는 것이 아닌가. 2016년 초에 구매해 무려 7년동안 잘 쓰고 있는 후지제록스 CM115w 컬러레이저 복합기인데(무려 와이파이 연결도 된다. 참고로 후지제록스 개인프린터 사업부문은 한국시장에서 철수한지 오래다) 처음에는 용지트레이에 종이가 빼뚜름하게 놓아져서 그..

사건의 시작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RME ADI-2 FS DAC의 문제였다. 공식 배포되는 드라이버를 설치한 다음 음악재생 플레이어 가릴것 없이 음악 재생중에 브라우저(이것 역시 가리지않고)에서 새 탭을 열거나 하이퍼링크를 클릭하면 팝노이즈와 함께 재생되던 음악이 멈칫 하는 문제로 골치를 썩고 있었다. 물리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케이블 교체, USB 포트 변경, 멀티탭 변경, 2.4Ghz 무선 혼선가능성 배제 등)도 다 해봤고 설정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전원설정, 다른 오디오 디바이스 제거, 버퍼 확장 등), 소프트웨어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윈도우 재설치, 윈도우즈 판올림, 구버전 드라이버 써보기, 바이오스 업데이트, 칩셋 드라이버 등 USB 연결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의 최신화)까지.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