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408)
In Hiding

오늘 입수한 젠하이저 MX400 미개봉품이다. 무려 대경바스컴이 유통하던 시절의 것이니 내 이어폰/헤드폰 덕질의 시작 무렵에 유통되고 있던 제품일 것이다. 최소 20년전이란 얘기. 입수 가격은 당시 판매가보다는 꽤 비싼 편이다. 정확하게 대경바스컴 유통하던 시절의 판매가에 대한 기억은 없는데 2만원은 분명히 넘지 않았던걸로 기억하고 그렇다면 4~5배 정도의 가격이다. 원래 가격이 몇만원 하던거의 4~5배면 좀 고민이겠지만 4~5배를 해도 크게 부담가는 가격은 아니라서 일단 입수하긴 했는데 원래 내가 예전 추억의 장비를 모으는게 그냥 단순 수집보다는 가끔이라도 써보기 위한 것이니만큼 이것도 결국 개봉 하기는 하겠지만... 뭔가 좀 아깝다는 생각도 들고 그렇다. 만약 과거에 바라만 보다 들어보지 못한 ..

퀘스타일은 이보다 상위의 장비들, 피프틴이라든지 CMA18도 유명하지만 좀 더 작은 사이즈의 장비에서도 특유의 음색이 유명하다. M15는 4.4mm 밸런스드 단자를 지원하는데 특유의 SiP라는 전류 증폭 시스템 모듈을 2개로 늘려 밸런스드 출력을 구현했다고 한다. ESS ES9281C 칩을 사용했고 M15 출시 후 시간이 좀 지나서 애플인증이 추가된 M15i가 나왔고 올해 가을에는 ESS 칩을 시러스로직 CS43198로 교체한 M15C가 등장했다. M15C는 칩을 교체하면서 가격이 많이 낮아졌다. 전작 M15i 대비 반 정도의 가격인데 그래서 팀킬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는 듯 하다. 아직 진득하게 들어보진 않았지만 SiP 맛 보는게 주 목적이라면 M15C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긴 하다. M15..

기회비용이라는 말은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도 배웠던 것 같고, 내 전공인 경제학에서도 시작부터 나오는 말이다. 간단하게는 하나를 선택했을시 그로 인해 포기해야하는 것들을 비용으로 환산한 것인데 기분비용이라는 것은 기회비용과는 별 상관은 없고, 그냥 비용이라는 같은 단어가 들어가서 기회비용 언급을 해봤다. 기분비용을 검색해보니 그냥 보이면 거르는 모 블로그 글쓰기 서비스의 내가 일베와 그 파생종자들만큼이나 극혐하는 어떤 사상에 경도된 사람이 비슷한걸 들먹거린게 보이기는 하는데 그거랑은 별개로 내 기준의 기분비용이라는 것은 어떤 서비스나 제품을 이용시에 기분이 나쁜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면 내가 현재 공식적으로 불매 또는 소비통제를 하는 것은 80년전의 일을 아직도 기억하냐는 광고로 대한민국 국민들을 도발..
https://www.youtube.com/watch?v=OaFwK5yqDas 나름 팝을 열심히 들었던 시기 초반의 곡이긴 한데 정작 U2를 아주 좋아했다거나 그런건 아니었다. 마이클 잭슨이나 건즈 앤 로지즈, 본 조비에 비하면 당시의 나에게는 쉽지 않은 장르였을지도. 이 So Cruel이 수록되어 있던 Achtung Baby는 내가 U2를 처음으로 접했던 앨범인데 자발적으로 구입했던 건 아니고 나보다 앞서 팝을 듣고 있던 친구가 생일선물로 줬던 앨범이다. 싱글 발매됐던 곡은 아니지만 난 이 앨범에서 So Cruel을 가장 좋아했고 지금도 가끔 찾아듣는 U2의 곡이라면 이 곡을 첫번째로 꼽는다. 10몇년전에도 So Cruel은 이 카테고리에 포스트로 올린 적은 있었는데 그때는 Achtung Baby를 ..

Fiio에서 최근 출시한 DAP JM21 이다. 이름에서부터 Fiio의 하위 브랜드인 Jade Audio 주도로 개발된 것으로 보이는데, 먼저 출시된 포터블 DAC KA15와 패밀리룩이라도 이루는듯한 디자인과 색상이다. 안드로이드 OS를 쓰고 Wi-Fi도 되다보니 사실상 카메라 없는 작은 태블릿에 CS43198 듀얼 칩셋을 탑재하고 3.5mm/4.4mm 단자를 달아 DAP으로 만든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채택된 메인 컨트롤러 칩은 스냅드래곤 680이다. 아이폰14 프로와 비교한 크기. 무게는 기본 제공되는 젤리케이스 장착 상태에서 171.5g 가 나온다. 하단에는 3.5mm/충전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C타입 단자/4.4mm 밸런스드 단자가 있고 왼쪽 측면에는 전원/화면 켜는 버튼과 볼륨조절 버튼이..